
지방 아파트 거품 시작일까? 들어가기에 앞서서 금리환경과 더불어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부동산 정책이다. 과거 부동산 정책과 현재 부동산 정책을 비교해볼 필요가 있으며 그로인해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이 어떻게 극단으로 달리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금리환경 비교 아래 그림은 크게 2008년 전과 2008년 이후로 나누어 보면 좋을 것 같다. 1) 2008년 이전 2008년 이전은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오르던 시기였다. 그렇다면 지금의 저금리 상황에서 집값이 오르는 것과는 인과관계가 없다. 즉 저금리가 유리한 상황일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저금리는 기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즉 오른 집값에 더욱더 불을 붙이는 역할을 한다는게 맞을 것이..
재테크/부동산경매
2020. 11. 21. 23:10
말소기준권리가 될 수 있는 권리
다음은 말소기준 권리가 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권리들이다. 말소기준권리보다 늦게 설정된 권리는 낙찰을 받음으로써 모두 소멸된다. 1. 저당권(근저당권) 2. 담보가등기 3. 압류(가압류) 4. 강제경매 기입등기 5. 전세권 : 전세권의 경우 말소기준 권리가 되기 위해 아래의 세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1) 가장 먼저 등기되어야 함. 즉 집주인과 계약시점에 등기부등본이 깨끗해야한다. 2) 부동산 전체에 대해서 설정될 것 3) 전세권자가 경매신청 또는 배당요구를 해야 함.
재테크/부동산경매
2013. 10. 15. 00:04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