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아파트 거품 시작일까? 들어가기에 앞서서 금리환경과 더불어 무시할 수 없는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부동산 정책이다. 과거 부동산 정책과 현재 부동산 정책을 비교해볼 필요가 있으며 그로인해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이 어떻게 극단으로 달리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 금리환경 비교 아래 그림은 크게 2008년 전과 2008년 이후로 나누어 보면 좋을 것 같다. 1) 2008년 이전 2008년 이전은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오르던 시기였다. 그렇다면 지금의 저금리 상황에서 집값이 오르는 것과는 인과관계가 없다. 즉 저금리가 유리한 상황일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저금리는 기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즉 오른 집값에 더욱더 불을 붙이는 역할을 한다는게 맞을 것이..
가상화폐 비트코인에 대한 개인적인 전망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가상화폐에 대한 우려의 글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뭐 저는 경제전문가도 아니고 컴퓨터 전문가도 아니지만 경제분야에는 관심이있는 사람입니다. 귀동냥으로 들은 정보들과 제 개인적인 의견을 더하여 비트코인 전망에 대해서 몇자 적어보고자 합니다. 세상의 모든지식 SEMOJI 인간은 놀이하는 동물이다. [호모루텐스] 가상화폐 시장의 가장 큰 특징중에 하나는 중독성이 강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쉽게 빠져들 수 있는 요인이다. 돈을 벌게 해줌으로써 즐거움을 준다. 이런 소식이 사람들 사이에서 계속 퍼져나간다. 처음에는 소수의 일부 사람들에게만 전파된다. 그러는 동안 가상화폐 가격은 큰폭으로 오른다. 이제 처음에는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전해졌던 투자의 유혹이 옆..
지금은 과연 주식시장 호황일까? 아니면 상투일까? 내가 기억하기에 마지막 주식상승장은 2008년 금융위기 직전이다. 다들 기억할 것이다. 우리엄마도 그때 펀드를 드셨다가. 큰 손해를 보고 주식에 주자도 쳐다보지 않으셨다. 금리상승기의 시작 대세 상승기의 전조 인플레이션! 나는 코스톨라니씨를 좋아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시장의 자금이 줄어들어 증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금리를 올리면 경기는 뒤따라 오는게 보통이다. 절대로 급하게 오지 않는다. 이제 갓 박스피에 갇혀있다가 빠져나왔을 뿐이다. 새정부, 금리상승, 기업의 실적 상승의 기초는 다 닦여있다고 본다. 이시기쯤 개인들의 생각을 읽어보기 위해 나는 뉴스댓글을 주로 본다. 오늘 코스피는 5월 25일 기준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